한미 금리차 2.00%p, 역대 최고폭 금리차에 우려
[한국뉴스투데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다. 이에 지난달 한 차례 동결됐던 미국의 금리 인상이 다시 재개됐다. 연준의 인상 결정으로 2001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우리나라와의 금리차는 최대 2.00%까지 벌어졌다. 이날 제롬 파월 의장은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모호한 입장을 밝혔다.
금리 5.25~5.50% 수준, 22년만에 최고
지난 25~26일(현지시간)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범위를 0.25%p 인상했다. 이에 미국의 기준금리는 기존 5.00~5.25%에서 5.25~5.50%로 조정됐다. 이번 결정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존 윌리엄스 부의장을 포함해 11명의 위원 전원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앞서 연준은 물가 안정을 이유로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해 제로 금리시대를 끝내고 같은해 4월 0.50%p로 빅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50%p 인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이후 6월 0.75%p, 7월 0.75%p, 9월 0.75%p, 11월 0.75%p 등 4차례의 자이언트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75%p 인상)을 단행했다.
지난해 12월 0.50%p 인상에 이어 올해에도 2월 0.25%p, 3월 0.25%p, 5월 0.25%p로 기준금리를 올려 15개월 동안 총 10차례에 걸친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 행보를 보여왔다. 그러던 연준은 지난 6월 금리를 동결하면서 지난해 3월부터 15개월간 이어졌던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멈추고 숨고르기에 들어간 바 있다.
이번 인상으로 미국 기준금리 수준은 닷컴버블사태 당시인 지난 2001년 1월 이후 22년만에 최대치다. 다만 이번 인상은 시장 예상과 맞아떨어진다. 전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기준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할 가능성은 98.3%까지 예측됐었다.
오는 9월 추가 인상 가능성은
문제는 오는 9월로 예정된 FOMC에서 또 다시 금리가 오르냐는 점이다. 연준은 이날 공개한 FOMC 성명에서 미국의 최근 지표는 경제 활동이 완만한 속도로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근 수개월 간 일자리 증가세는 견고했고 실업률은 낮았으며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 평가했다.
성명은 추가 금리인상 여부에 대해서는 "앞으로 위원회는 새로운 정보로 통화 정책에 관한 영향을 계속 평가할 것"이라며 “그것이 금융정책에 미치는 시사에 관해 검증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목표(인플레이션율 2%) 달성을 방해할 위험이 발생할 경우 통화 정책 기조를 적절히 조정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FOMC가 모호한 입장을 밝힌 가운데 파월 의장의 발언에 관심이 쏠렸다.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올해 최소 두 차례의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고 밝혔던 파월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 금리 인상 속도를 포함해 향후 회의에 대한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않은 상태라 말했다.
그러면서 데이터가 뒷받침된다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올리는 것도 가능하고 데이터에 따라 금리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며 모호한 답을 내놨다. 다만 금리 인하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올해는 아니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FOMC가 목표로 하는 물가 목표는 2%로 해당 목표 달성까지는 인하를 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미 역대급 금리차 한은 고심
이번 인상으로 한미 금리차는 최대 2.00%p까지 벌어졌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3.50%다. 과거를 돌아봐도 한미 금리차가 2%p까지 벌어졌던 일은 한 번도 없었던 이례적인 상황이다. 이에 다음 달 24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앞두고 있는 한국은행의 고심이 커지는 모양새다.
한미 금리차가 벌어지면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원화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와 외국인의 투자금이 빠져나가는 것을 우려한다. 이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역대 최대폭으로 벌어진 한미 금리차에 대해 "불확실성이 다소 확대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도 있지만, 외화자금 시장은 양호하다"며 세간의 우려를 일축했다.
추 부총리는 "자본 유출입과 환율 변동의 경우 내외 금리차뿐만 아니라 국내외 경제·금융 여건 등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라며 대내외 경제·금융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정부는 한국은행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주요 리스크 요인에 대해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한국은행은 미국의 금리인상에 "향후 연준의 금리결정이 데이터 의존적임을 재차 확인한 만큼 앞으로도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며 미국 등 주요국의 물가 및 경기상황과 이에 따른 정책기대 변화 등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유의해 관련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