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뉴스투데이] 건설사 10곳 중 4곳은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경기의 반등이 없다면 내년 이후에는 부실이 본격화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사 중 이자보생배율이 1 미만인 회사는 929곳으로 전체의 41.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눠 산출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업체는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높다는 것으로 수익창출이 어려운 취약기업으로 분류된다.
건설사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건설사는 지난 2018년 642개사(32.3%)에서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업계 이자보상배율은 2018년 6.8배에서 2019년에는 5.6배로 하락했다 지난해 4.1배로 급격히 하락했다. 이는 최근 5년간 가장 낮은 수치다.
특히 한국은행은 이러한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이면 한계기업으로 간주하고 있는데 지난해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기업은 387개사였다. 이는 전체의 18.7%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계기업 비중은 2020년 15.8%에서 2021년에는 17.3%, 2022년에는 18.7%로 증가하는 추세다.
한계기업 중 종합건설업은 22.1%, 전문건설업은 13.5%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14.0%, 중소기업은 86.0%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7.4%, 비수도권이 20.3%로 비수도권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이 증가한 이유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의 저금리 기조에 따라 부채가 증가하고 물가상승으로 인한 금리 상승으로 이자비용의 부담이 급증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또 우크라이나 전쟁이후 지속적으로 오른 건설자재 가격으로 건설업체의 수익률이 악화된 것도 이유가 됐다.
전문건설산업은 외부환경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경제위기에 취약해 연쇄부도와 일자리 감소 등의 부정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고 건설 원가 역시 높은 상태로 건설업의 부실은 더욱 악화할 것”이라며 "건설경기의 반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내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라 경고했다.
그러면서 ”이미 진행되고 있는 공사들이 중단되지 않도록 건설업계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며 “정상적으로 영업하고 있는 전문 및 중소 건설업체 연쇄부도와 흑자도산이 이뤄지지 않도록 공정한 생태계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