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뉴스투데이]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가 450만명을 넘어섰다. 이같은 다중채무자 비중은 전체 가계대출자 중 22.7%를 차지해 사상 최대 수준이다.
지난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 분기보다 2만명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또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자 1983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2.7%로 사상 최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 분기와 비교해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568조1000억원)이 4조3000억원 줄었고 1인당 평균 대출액(1억2625만원)은 160만원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은 1.5%로 추산됐다. 이는 지난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다중채무자들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58.4%다. DSR은 대출받는 사람이 보유한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눠 산출한 것으로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다.
이들의 DSR이 58.4%이라는 말은 소득의 절반이 넘는 58.4%를 원리금 상환에 사용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금융당국은 DSR이 70%에 달하면 최소 생계비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소득으로 원리금을 갚아야 하는 상황으로 간주한다.
즉, 다중채무자의 상당수가 DSR의 한계에 다다랐을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이다. 실제 다중채무자의 14.2%(64만명)는 DSR이 100%를 웃돌아 갚아야할 대출금이 소득보다 많은 심각한 상태다.
다중채무자의 26.2%(118만명)는 DSR이 70%를 넘어섰다. 전체 가계대출자 중에는 DSR이 70%를 넘은 차주가 117만명, 100%를 넘은 차주는 162만명으로 총 279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소득과 신용도까지 낮은 대출자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다중채무자를 '취약 차주'로 정의하는데,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이들은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6.5%를 차지했다.
이는 직전 분기(6.4%)보다 0.1%p 늘어 지난 2020년 3분기(6.5%) 이후 3년 만에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3분기 말 현재 취약 차주의 평균 DSR은 63.6%고 취약 차주 중 35.5%(46만명)의 DSR은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금융업계서는 빚으로 빚을 돌려 막는 다중채무자가 금리 인상기에는 연체율 상승 등 부실 위험이 가장 큰 금융시장의 뇌관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에 양 의원은 "가계부채 지표가 나빠지는 동안에도 정부는 대출수요를 자극시킬 소지가 있는 정책 상품들을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다"며 정부와 금융당국에 대해 가계부채 증가속도와 건전성 관리를 계속적으로 강화할 것으로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