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기획】 부동산PF발 위기...건설사·금융기관까지 휘청
올해 건설업체와 건설사 줄부도 가속화 부동산FP 연체율도 증가, 금융권도 휘청
[한국뉴스투데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고금리와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이하 부동산PF)발 위기가 한계에 다다랐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견 건설사들이 잇달아 부도를 내고 있고 이로 인해 부동산PF와 연관된 저축은행과 증권사들까지 여파가 예상된다. 이같은 도미노 현상은 이제 시작에 불과해 내년에는 본격적인 위기를 맞을 것인란 우려가 나온다.
올해에만 19곳 건설업체 부도
올해 들어 총 19곳의 건설업체가 부도 처리됐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올해 1월부터 12월까지 부도난 건설업체(금융결제원이 공시하는 당좌거래 정지 건설업체)는 총 19곳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좌거래정지 당시 폐업 또는 등록 말소된 업체를 제외한 수치로 지난 2020년 24곳이 부도 처리된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면허별로 전문건설업체가 11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종합건설업체가 8곳으로 나타났다. 전문건설업체에 비해 사업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종합건설업체만 놓고 봤을 때 부도난 회사(1~12월 누적 기준)는 지난 2019년(12곳) 이후 가장 많았다. 전문건설업체의 경우 지난 2021년과 같은 수준이다.
부도 건설업체 소재지는 서울 3곳, 인천 1곳, 경기 3곳, 부산 3곳, 광주 1곳, 충남 2곳, 전북 1곳, 전남 3곳, 경북 1곳, 경남 1곳 등 전국에 퍼져있다. 건설사 폐업 역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11월 누적 종합건설사 폐업 신고는 36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14건)보다 71.02% 늘었다. 같은 기간 전문건설사 폐업 신고는 전년 동기(1429건) 대비 20.99% 증가한 1729건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달에만 건설사 3곳이 부도처리됐다. 지난 13일 광주 소재 중견건설사 해광건설이 당좌어음을 막지 못해 부도 처리됐고 경남 창원 지역의 중견건설사 남명건설은 부동산PF 대출에 실패한 이후 유동성 실패까지 겪으면서 최종 부도 처리됐다. 전북 소재 대도토건도 이달 들어 부도가 결정됐다. 이들의 부도 처리 배경은 원자잿값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가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유동성 악화가 공통적이다.
저축은행의 부동산PF 연체율 상승
이처럼 건설사들이 휘청거리는 이유는 부동산PF 부실이 가속화되기 때문이다. 부동산PF는 담보나 신용 대신 부동산의 프로젝트, 즉 사업성 자체를 경제성으로 인정해 돈을 빌려주는 것을 말한다. 담보가 없는 만큼 리스크가 커 이자가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1금융권 보다는 저축은행과 같은 2금융권이나 증권사에서 대출을 해주는 것도 일반적이다.
문제는 지난 2020년과 2021년 즈음 부동산 시장이 호황기였을 당시 앞다투어 진행된 부동산PF가 지난해 말부터 고금리와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해 리스크가 커졌다는 점이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SBI·OK·웰컴·페퍼·한국투자저축은행 등 국내 5대 저축은행의 부동산PF 연체율은 6.92%로 지난해 동기(2.40%)보다 4.52%p 상승했다. 연체율이 높다는 것은 상환능력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으로 가장 위험한 신호로 읽힌다.
저축은행별로는 SBI저축은행의 부동산PF 연체율이 6.21%로 지난해(0.20%)보다 6.01%p 올랐다. 이어 OK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이 9.07%로 전년 동기(3.64%)보다 5.43%p 뛰어 올랐고 한국투자저축은행도 6.70%로 전년 동기(1.85%)보다 4.85%p 올랐다. 웰컴저축은행과 페퍼저축은행은 각각 0.03%, 0%에서 4.42%, 4.93%로 뛰었다.
같은 기간 SBI·OK·웰컴·페퍼·한국투자저축은행 등 국내 5대 저축은행의 부동산PF 연체액 역시 173억원에서 576억원으로 3.3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권은 연체 증가에 따른 선제적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대손충당금 적립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실제 저축은행중앙회가 밝힌 3분기 말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2조6908억원으로 지난 6월(1조9310억원)보다 7598억원 증가했다.
증권사도 위험한데...정부는 관망
특히, 부동산PF 연체율 증가 추세에 증권사가 포함되면서 금융권에 대한 위기 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증권사의 PF 연체율은 부동산 경기가 호황이었던 2019년 말에 1.3% 수준에서 2020년 말에는 3.37%, 2021년 말에는 3.71%로 증가했다가 지난해 말에는 10.38%로까지 폭등했다. 이어 올해는 1분기 말에 15.88%로 급증했고 2분기 말에는 17.28%까지 올랐다.
이같은 수치는 증권업계의 부동산 PF 사업 대부분이 부실채권이거나 부실채권화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2분기말 기준 금융권의 부동산PF 연체율은 증권사 17.28%에 저축은행 4.61%, 여신전문회사 3.89%, 상호금융 1.12%, 보험 0.73%, 은행 0.23% 순으로 증권사의 부동산PF 연체율이 금융권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정부는 아직까지 관망하는 분위기다. 지난 9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은 부동산PF 사업정상화 추진상황 점검회의에서 지난 6월말 기준 금융권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2.17%로 3월말(2.01%) 대비 0.16%p 상승하였으나 상승추세는 크게 둔화됐다면서 금융 전반에 대한 위험으로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다만,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고 공사원가 및 안전비용 상승 요인 등으로 부동산PF 시장 불안요인이 상존하는 만큼 지속적인 관찰·관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은 재확인했다. 그러면서 대주단을 구성하는 금융기관에 대해 사업성이 있는 PF 사업장에는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자금을 공급해주는 한편, 위험관리 차원에서 대손충당금 적립에도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하고 시공사에는 준공리스크와 자사의 유동성 상황을 감안해 자금조달계획을 점검하고, 필요시 사업장 구조개선이나 자산매각 등을 통한 자구노력을 검토하라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