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 멘토링, 멘토링의 새로운 모델 제시
SAM 멘토링, 멘토링의 새로운 모델 제시
  • 김호성
  • 승인 2011.10.20 14: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소득 청소년들에겐 학습기회를, 대학생들에겐 지식 나눔의 실천 기회 제공

SAM 멘토링, 멘토링의 새로운 모델 제시


관악구(구청장 유종필)는 서울대학교 사범대와 함께 지난 26일부터 ‘2011년 하반기 SAM 멘토링’을 운영하고 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까지 멘티 400명과 서울대학교 학생인 멘토 100명을 활동가능 시간, 희망분야, 성별 등을 고려해 매칭했으며, 각 학교에서 방과 후 매주 2회 2시간씩 총 24회에 걸쳐 진행된다.

멘티 학생들은 진로 등 향후 사회적 역할과 가치관 및 자아정체감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청소년 시기에 역할모델이 되어줄 수 있는 든든한 지지자이자 조언자를 갖게 된다.

멘토 역할을 하는 서울대학교 학생들은 학창시절의 경험과 공부비법을 전수하며 멘티-멘토 관계 이상으로 동생들과 교감하고 지식 나눔을 실천하는 보람된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서울대 사범대 교육학전문가로 이루어진 수퍼바이저를 통해 월2회 멘토링 운영에 관한 문제점 해소방안 등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학습방향을 설정하고 최상의 방법으로 멘토링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서울대 SAM 운영실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게 된다.

관악구는 지난 2006년부터 서울대학교 사범대와 협력하여 ‘SAM 멘토링’을 운영해왔다.

 

저소득 청소년들에겐 학습기회를, 대학생들에겐 지식 나눔의 실천 기회 제공

 

‘SAM’은 관내 저소득층 청소년들에게 서울대 학생들이 멘토가 되어 학습지원 뿐 아니라 진로 및 청소년기에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조언과 격려를 하고 친구로서 때론 상담자로서 든든한 지지자가 되어주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이다.

또한 영화, 연극 등 공연 관람을 함께 하는 '문화체험활동'과 멘토가 재학 중인 서울대학교를 방문하는 '캠퍼스투어'를 통해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도 가질 수 있고 미래에 대한 목표를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들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그간 ‘SAM 멘토링’ 운영을 통해 청소년들의 대인관계, 학업성취, 자신감 향상 등 좋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2011년 상반기 SAM(SNU Active Mentoring) 멘토링에 참여했던 이 다영(관악중학교·가명) 양은 하반기에도 SAM 멘토링에 지원했다. “평소 모르는 것이 있어도 어디 물어볼 데도 없고, 혼자 공부하는 게 재미가 없었는데, 서울대생 언니와 함께 공부하면서 모르는 것을 편하게 물어볼 수 있고, 공부 뿐 아니라 고민도 의논할 수 있어서 든든해요.”라고 말했다.

관악구 유종필 구청장은 “대학생 멘토링 사업은 지역 내 교육소외와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중요한 교육정책의 일환”이라며, “저소득층 학생들이 멘토링을 통해 학업 성적 향상 뿐 아니라 정서적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국뉴스투데이 김호성

김호성 khs4096@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