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뉴스투데이]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2021년 이후 39개월 만에 최소 증가한 가운데 29세 이하 청년층과 40대 신규가입은 또 다시 줄어들었다. 반면 50대와 60세 이상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증가하고 있다.
1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4년 5월 고용행정 통계로 보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는 1539만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4만명(1.6%)이 증가했다. 이는 19만2000명 증가에 그친 2021년 2월 이후 39개월 만에 최소 증가다.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해 3월 처음으로 1500만명을 넘어선 후 최다 가입자 수를 경신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7월 37만3000명이 증가한 이후 증가폭이 줄어들면서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다.
지난해 8월 36만2000명으로 증가세가 감소됐고 이후 9월 35만9000명, 10월 34만2000명, 11월 33만5000명, 12월 29만7000명으로 떨어졌다. 올해 1월 34만1000명으로 소폭 반등한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2월 31만2000명, 3월 27만2000명, 4월 24만4000명으로 줄었다.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29세 이차 청년 가입자과 40대 가입자의 감소 폭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29세 이하 청년 가입자 감소는 지난해 10월부터 3만2000명, 11월 3만1000명, 12월 4만2000명, 올 1월 4만7000명, 2월 6만3000명, 3월 7만7000명 4월 8만6000명, 5월 8만9000명으로 줄었다.
40대 가입자 의 경우 지난해 11월 2000명이 줄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감소한 이후 12월 1만명, 올 1월 6000명, 2월 1만1000명, 3월 2만3000명, 4월 3만2000명, 5월 3만4000명으로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이같은 20대와 40대의 고용보험 가입 감소에 대해 고용부는 인구 감소를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특히 40대의 경우 감소 업종이 건설과 도·소매, 제조업 등 주력산업에서 감소폭이 커 산업 전반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우려를 키우고 있다.
반면 50대와 60세 이상이 고용보험 가입자는 증가했다. 50대 가입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1만5000명 증가했고, 60세 이상은 20만2000명 증가했다. 30대 가입자도 4만6000명 늘었다.
한편, 지난달 고용보험 신규가입자 24만명 중 외국인은 5만7000명(23.75%)으로 전체 고용보험 신규가입자 중 23.75%를 차지했다.